본문 바로가기
독서 후기

김지은 인터뷰집 『우리의 실패가 쌓여 우주가 된다』(휴머니스트)

by 소설 쓰는 정진영입니다 2025. 8. 8.

 



좋은 안목을 갖고 있으면 종종 괴롭다.
대놓고 좋은 안목을 갖고 있다고 말하니 살짝 민망하지만, 나는 좋은 건 기가 막히게 알아본다.
그래서 괴롭다.
10대 후반부터 20대 중반까지 부지런히 방구석에서 음악을 만들다가 포기한 이유도 이 안목 때문이었다.
많이 듣고 만들어 경험치가 쌓이다 보니 어떤 음악이 좋은지 동물적으로 알겠는데, 나는 그런 음악을 만들지 못했으니 말이다.

작가로서도 이 안목 때문에 괴롭긴 마찬가지다.
많이 읽고 쓰다 보니 어떤 글이 좋은지 바로 감이 오는데, 나는 그런 글을 쓰지 못하니 말이다.
최근에는 내가 이도 저도 아닌 무가치한 작가란 기분이 들 때가 많았다.
실패하지 않으려고 오랫동안 밥벌이하던 일을 때려치우고 나왔는데, 여기서도 실패하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감도 들고.

슬플 때 슬픈 음악을 들으면 위로가 되는데, 누군가 함께 해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란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패했다고 느꼈을 때 실패에 관한 이야기를 읽으면 비슷한 느낌을 받지 않을까.
실패한 사람을 상담하는 사람이 경험한 실패, 가족 공동체의 실패, 공들여 준비한 자살마저 실패, 실패를 연구하는 사람의 실패 등 다채로운 실패담을 담은 이 인터뷰집이 적어도 읽는 동안에는 조금이나마 위로가 됐다.
나만 그런 기분을 느끼며 살고 있진 않음을 깨달으면 덜 외로워지니 말이다.

작년에 출간한 장편소설 『왓 어 원더풀 월드』가 실패한 뒤 깊은 열패감을 느꼈다.
단독 저서를 10권쯤 쓰면 내 차례도 오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를 오랫동안 해왔는데, 10권째에도 달라진 게 없었으니 말이다.
지금까지 쓴 장편소설 중에서 취재에 가장 공을 들였던 데다, 기대 이상으로 잘 뽑힌 작품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마음에 스크래치가 정말 많이 났다.

인터뷰집을 읽다가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의 말이 꽤 힘이 됐다.
"실패했다고 슬퍼하거나 기분 나빠할 겨를이 없어요. 오히려 실패하지 않는 걸 좋게 보지 않죠. 그만큼 도전해 보지 않았다는 거니까."

돌이켜보니 안목이 나를 괴롭게만 하진 않았다.
신문사에서 음악 기자로 일할 때 그랬다.
음악을 들으면 바로 감이 오니까 아무리 신인이나 잘 알려지지 않은 뮤지션이어도 발 빠르고 자신 있게 인터뷰를 섭외하거나 앨범을 소개할 수 있었다.
잔나비를 비롯해 여러 뮤지션(준면 씨도 여기에 포함된다)이 인터뷰로 만난 첫 기자가 나였고, 그들 상당수가 나중에 한국대중음악상에 이름을 올리거나 명실상부한 스타가 됐다.
언젠가는 내 작가 경력에도 이 안목이 힘이 돼주지 않을까.
책을 덮을 때쯤에는 '실패'라는 단어가 '시도'라고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