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왕 정진영

<식물왕 정진영> 74.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에도 없는 가을 손님 ‘쥐꼬리망초’

by 소설 쓰는 정진영입니다 2016. 11. 3.

매년 11월은 내게 늘 서운한 달이다.

더 이상 새로 피어나는 꽃을 볼 수도 없고, 피어있던 꽃들도 지는 시기이니 말이다.

그래도 바닥을 살피다보면 여전히 꽃을 피운 채 찬바람을 맞고 있는 식물들이 종종 보인다.

쥐꼬리망초도 겨울이 코앞으로 다가오기 전까지 그럴 것이다.


쥐꼬리망초는 전국 어디에서나 흔한 식물인데, 너무 작아서 눈에 띄지 않는 식물이다.

하지만 알려진 약효는 그 어느 약초보다 다양하고 강력하다.

쥐꼬리망초를 약으로 쓰고 싶어도 알아봐야 쓸 수 있는 법 아닌가?

문득 쥐꼬리망초가 이 땅위에 살고 있는 수많은 보통사람들을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기사는 헤럴드경제 11월 4일자 26면 사이드에도 실린다.






[HOOC=정진영 기자] 두껍게 옷을 차려입고 입김을 뿜어내며 출근과 등교를 서두르는 많은 사람들. 가을이 실종됐습니다. 며칠 후 날씨가 풀려 평년 기온을 회복한다지만, 찬바람이 드나든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 기온까지 가을로 회복하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나라 돌아가는 꼴이 남부끄러운 나날들이 계속되고 있으니 말이죠.

몸과 마음이 싸늘해지면 시선은 아래로 기웁니다. 고개를 들 기운이 나지 않으니 별 수 있나요. 늦여름부터 늦가을 사이에 걸음이 느려지고 시선이 바닥에 꽂혀야만 비로소 눈에 들어오는 꽃이 있습니다. 크기가 너무 작아 눈을 크게 뜨고 살펴도 그냥 지나쳐버리기 십상인 꽃이죠. 하지만 이 꽃은 매년 가을이면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이 땅 곳곳에서 피어나고, 내년에도 어김없이 우리의 주변에 뿌리를 내릴 것입니다. 쥐꼬리망초는 작지만 강하고 부지런한 가을의 단골 손님입니다.


서울 예장동 남산공원에서 촬영한 쥐꼬리망초. 정진영 기자/123@heraldcorp.com

쥐꼬리망초는 쥐꼬리망초과의 한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우리나라입니다. 쥐꼬리망초는 주로 중부이남 지방의 산기슭이나 길가의 후미진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가을 내내 부지런히 연한 자홍색 꽃을 피웁니다. 쥐꼬리망초의 꽃은 크기가 4~5㎜에 불과해, 쭈그려 앉지 않으면 모양을 살피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잎도 작고 밋밋하죠. 흔한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낯선 이유입니다.

쥐꼬리망초라는 독특한 이름은 쥐의 꼬리 모양을 닮은 꽃차례(꽃이 줄기나 가지에 배열되는 모양)에서 유래한다는데, 기자는 둘이 서로 닮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쥐꼬리망초는 이름에 ‘망초’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지만, 국화과인 망초나 개망초와는 다른 종입니다. 유래야 어찌됐든, 매우 적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단어인 ‘쥐꼬리’와 잡초의 대명사인 ‘망초’를 합친 이름이 쥐꼬리망초에게 달가울 진 의문입니다.

그러나 쥐꼬리망초를 볼품없는 모양새만으로 무시하면 곤란합니다. 

한방에선 쥐꼬리망초를 ‘작상(爵牀)’이라고 부르는데 감기, 간염, 근육통, 신경안정, 종기 등의 질환에 쓰입니다. 특히 통풍,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에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항균, 심박 조율 작용도 한답니다. 이 정도면 마치 만병통치약 같습니다.

작은 꽃에는 생존의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쥐꼬리망초의 꽃잎 위에는 안쪽을 향해 나뭇가지 모양의 흰 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벌들이 쉽게 꿀샘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허니 가이드(Honey Guide)’입니다. 부지런히 꽃을 피우고 벌을 끌어들일 준비를 하니, 쥐꼬리망초가 전국 곳곳에서 번성하는 이유를 알 듯합니다.


서울 예장동 남산공원에서 촬영한 쥐꼬리망초. 정진영 기자/123@heraldcorp.com

쥐꼬리망초는 자신을 찾는 이들에게 겸손을 가르치는 것 같습니다. 어디에나 있지만, 시선을 아래로 끌어내려 살피지 않으면 어디에도 없는 식물이니 말입니다. 위정자들이 국민을 살피는 자세도 그래야 하지 않을까요? 아무리 흔한 것이어도, 철을 모르고 지나쳐 버리면 내 것이 아닌 법입니다. 

123@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