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의 미래를 노장들이 보여주는 현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
두 공연은 근래에 본 한국 뮤지션들의 공연 중 감히 '투톱'이라고 말할 수 있다.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조용필과 이문세 두 노장(老將)이 공연으로 보여준 것은 미래였다. 둘의 무대 위 모습은 서로 사뭇 달랐지만 각자의 영역에서 정점의 무대를 펼쳐냈다는 점은 같았다. 여름의 문턱 6월을 맞은 잠실벌은 두 노장의 모습을 눈에 담기 위해 모인 수많은 관객들로 즐거운 마비 상태에 빠졌다.
조용필은 철저히 음악을 중심에 둔 ‘예술영화’ 같은 무대를 선보였다. 조용필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3일 간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전국 투어 첫 공연을 벌였다. 이곳은 국내 최대 실내 공연장이라고는 하나 공연장으로 지어진 건물이 아닌 만큼 종종 아쉬운 음향 수준을 들려주는 공간이다. 그러나 조용필은 달랐다. 공연 시작과 동시에 소리가 사방에서 객석으로 달려들었다. 소리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관객들이 수시로 전후좌우로 고개를 돌리는 흔치 않은 광경이 벌어졌다. 공연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조용필의 철저한 준비와 계산이 돋보이는 순간이었다.
무대 전면에 배치된 거대한 LED(발광다이오드) 스크린 미디어월(Media Wall), 3층 객석 외곽을 띠처럼 둘러싼 LED 조명, 돔 천장에 무늬를 만드는 레이저 조명은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하며 공연을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공연장 전후를 자유롭게 오가는 ‘무빙 스테이지’는 관객과 무대 사이의 거리적 한계마저 깼다. 이 모든 무대 연출은 음악 그 자체의 힘을 극대화하기 위한 요소로 작용했다. 이 같은 무대에 게스트는 끼어들 틈이 없었다.
이문세는 화려한 볼거리로 잠시도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 ‘블록버스터’ 같은 무대로 관객들을 맞았다. 이문세는 ‘대한민국 이문세’라는 타이틀로 지난 1일 서울 잠실동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공연을 개최했다. 이날 공연에 모인 유료 관객은 무려 4만 8500명으로 대한민국 단일 공연 역사상 최다 기록이다.
영국 런던의 타워브리지를 본 딴 대형 무대는 공연장의 크기에 지지 않는 규모로 객석을 압도했다. 여기에 미디어월은 수시로 다양한 영상과 무대 위의 모습을 보여주며 관객과의 거리를 좁혔다. 무엇보다도 이번 공연에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음향이었다. 올림픽 주경기장은 음향을 잡기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무대에서 3층 객석까지의 거리는 150여 미터 이상이다. 이 때문에 무대 위 스피커의 음향이 객석으로 늦게 전달돼 울리는 현상이 벌어진다. 그러나 이 날 공연에서 객석으로 들리는 잔향은 거의 없었다. 이는 철저히 스피커의 위치를 조정하고 재질에 신경을 썼음을 방증한다. ‘난 아직 모르잖아요’,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 등 다양한 히트곡들은 더욱 세련된 편곡과 영상 효과의 힘을 얻어 관객들에게 새로운 감동을 안겼다.
공연의 모습은 달랐지만 두 노장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일등 공신은 첨단 기술이란 점에서 동일했다. 또한 두 공연은 대한민국의 공연 기술 수준의 바로미터 역할을 해줬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두 노장의 이 같은 행보는 반복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는 가요계와 공연계에 상당한 충격파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123@heraldcorp.com
조용필은 철저히 음악을 중심에 둔 ‘예술영화’ 같은 무대를 선보였다. 조용필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3일 간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전국 투어 첫 공연을 벌였다. 이곳은 국내 최대 실내 공연장이라고는 하나 공연장으로 지어진 건물이 아닌 만큼 종종 아쉬운 음향 수준을 들려주는 공간이다. 그러나 조용필은 달랐다. 공연 시작과 동시에 소리가 사방에서 객석으로 달려들었다. 소리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관객들이 수시로 전후좌우로 고개를 돌리는 흔치 않은 광경이 벌어졌다. 공연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조용필의 철저한 준비와 계산이 돋보이는 순간이었다.
무대 전면에 배치된 거대한 LED(발광다이오드) 스크린 미디어월(Media Wall), 3층 객석 외곽을 띠처럼 둘러싼 LED 조명, 돔 천장에 무늬를 만드는 레이저 조명은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하며 공연을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공연장 전후를 자유롭게 오가는 ‘무빙 스테이지’는 관객과 무대 사이의 거리적 한계마저 깼다. 이 모든 무대 연출은 음악 그 자체의 힘을 극대화하기 위한 요소로 작용했다. 이 같은 무대에 게스트는 끼어들 틈이 없었다.
놀라운 것은 편곡이었다. 19집 ‘헬로(Hello)’를 통해 모던록 사운드를 들려줬던 조용필은 ‘그대여’, ‘자존심’, ‘어제, 오늘 그리고’ 등 기존의 히트곡에 더욱 록적인 색채를 더함과 동시에 ‘헬로‘, ‘충전이 필요해’, ‘설렘’ 등 19집의 록넘버를 공연에 전진 배치했다. 특히 라틴 댄스 ‘장미꽃 불을 켜요’를 강렬한 록으로 탈바꿈한 무대는 공연의 압권이었다. 조용필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20집은 더욱 록의 느낌이 강한 앨범이 될 것이라고 암시한 바 있다. 이번 공연은 향후 조용필의 음악적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무대였다고도 볼 수 있다.
이문세는 화려한 볼거리로 잠시도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 ‘블록버스터’ 같은 무대로 관객들을 맞았다. 이문세는 ‘대한민국 이문세’라는 타이틀로 지난 1일 서울 잠실동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공연을 개최했다. 이날 공연에 모인 유료 관객은 무려 4만 8500명으로 대한민국 단일 공연 역사상 최다 기록이다.
영국 런던의 타워브리지를 본 딴 대형 무대는 공연장의 크기에 지지 않는 규모로 객석을 압도했다. 여기에 미디어월은 수시로 다양한 영상과 무대 위의 모습을 보여주며 관객과의 거리를 좁혔다. 무엇보다도 이번 공연에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음향이었다. 올림픽 주경기장은 음향을 잡기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무대에서 3층 객석까지의 거리는 150여 미터 이상이다. 이 때문에 무대 위 스피커의 음향이 객석으로 늦게 전달돼 울리는 현상이 벌어진다. 그러나 이 날 공연에서 객석으로 들리는 잔향은 거의 없었다. 이는 철저히 스피커의 위치를 조정하고 재질에 신경을 썼음을 방증한다. ‘난 아직 모르잖아요’, ‘가로수 그늘 아래 서면’ 등 다양한 히트곡들은 더욱 세련된 편곡과 영상 효과의 힘을 얻어 관객들에게 새로운 감동을 안겼다.
이날 콘서트의 또 다른 즐거움은 다양한 게스트들의 무대였다. 이문세와 함께 ‘소녀’를 부른 성시경은 시작에 불과했다. 안성기ㆍ박찬호ㆍ송종국ㆍ김태우ㆍ이정ㆍ허각ㆍ정준영ㆍ로이킴ㆍ이수영ㆍ김완선ㆍ양동근ㆍ박경림ㆍ박수홍 등으로 구성된 합창단은 ‘이 세상 살아가다 보면’을 열창했다. 윤도현과 김범수는 ‘그녀의 웃음소리뿐’의 듀엣 무대를 선사했다.
공연의 모습은 달랐지만 두 노장의 장점을 극대화시킨 일등 공신은 첨단 기술이란 점에서 동일했다. 또한 두 공연은 대한민국의 공연 기술 수준의 바로미터 역할을 해줬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두 노장의 이 같은 행보는 반복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는 가요계와 공연계에 상당한 충격파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123@heraldcorp.com
'대중음악 기사 및 현장 > 음악 및 뮤지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엠블랙 “남성이 일상에서 보여줄 수 있는 섹시함 강조” (0) | 2013.06.05 |
---|---|
(인터뷰) 씨엘 “난, 예쁜 것보다 멋진 것이 좋다” (0) | 2013.06.04 |
(인터뷰) 김거지 “내 음악으로 마음만은 거지처럼 가난해지지 않길” (0) | 2013.06.02 |
(인터뷰) 브로큰 발렌타인 “블록버스터처럼 대중성ㆍ작품성 조화 이룬 록 꿈꿔” (0) | 2013.06.01 |
조용필 ‘걷고 싶다’ 뮤직비디오 공식 공개 (0) | 201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