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후기

김하율 장편소설 <이 별이 마음에 들어>(광화문글방)

by 소설 쓰는 정진영입니다 2023. 12. 10.

 



1978년 대한민국 서울에 불시착해 여공으로 살아가는 외계인.
설정만으로도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흥미롭지 않은가.
설정만 보면 SF스럽지만, 이 작품은 이방인의 시선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열악한 노동 현실이 요즘에 어떤 형태로 반복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노동소설이다.
그렇다고 해서 읽기에 무거운 소설은 아니다.
오히려 경쾌하고, 심지어 웃기다.

주인공이 떠나온 행성의 생존 매뉴얼에 따르면, 낯선 행성에 불시착했을 때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은 그 행성에서 가장 고등한 생명체로 변신하기다.
하필 주인공이 맨 처음 마주친 고등 생명체는 여공이었고, 주인공은 가장 평균적인 모습을 가진 여공으로 변신해 공장에 스며든다.
그곳에서 주인공은 그야말로 미친 학습 능력을 발휘해 말도 안 되는 단기간에 시다, 미싱사를 거쳐 재단사 자리를 차지한다.
공감 능력과 사회성이 전혀 없는 주인공이 본의 아니게 활약하며 이런저런 사건에 휘말리는 과정이 마치 시트콤처럼 펼쳐진다.
여담인데 주인공이 연구단지나 대학 캠퍼스에 불시착해 연구원이나 대학원생을 만났다면 노벨상을 타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봤다. 

숲을 보려면 숲에서 나와야 한다지 않던가.
지구인을 가장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존재는 어쩌면 외계인일지도 모르겠다.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제대로 임금을 받지 못하고, 오래 일하면 골병들고, 일하다 다쳐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는 등 주인공이 감정 없이 한 발짝 떨어져 바라본 노동 현실은 가혹하다.
이젠 널리 알려진 가까운 과거이지만, 소설로 접하니 이 정도로 야만의 시대였나 싶을 정도다.
과거의 부조리한 현실은 세대를 건너 주인공이 가슴으로 낳은 아들에게도 이어진다.
고용의 책임 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플랫폼 노동이라는 형태로 교묘하고 잔인하게.
이방인의 눈으로 바라보니 더 새롭고 선명하게 현실이 보인다.

주인공의 눈에 비친 인간은 답 없는 존재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희망 또한 인간에게 있다.
효율성과 이성만을 중시했던 주인공은 서서히 인간의 감정을 알아가며 누구보다 인간적인 모습으로 변화한다.
이 같은 주인공의 변화가 이와아키 히토시의 SF 만화 <기생수>의 주인공 '오른쪽이'의 심리 변화 과정과 비슷해서 인상적이었다.
'오른쪽이'도 남을 도와줄 수 있는 인간의 여유야말로 멋진 거라며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선택을 하지 않았던가.
주인공의 마지막 선택(스포하지 않겠다) 역시 '오른쪽이'처럼 지극히 인간적이다.
그런 인간적인 선택을 하는 인간이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 사회가 삐걱거리면서도 굴러가는 게 아닐까. 
재기발랄하면서도 의미심장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