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때문에 잡다한 보고서만 수백페이지를 읽어댔다.
하지만 눈을 감고 코끼리 다리를 만진 느낌이다.
콘텐츠 수출액 매년 증가 2008년엔 수입액 추월
서비스 · 제조분야 중견중소기업 52%
“한류확산이 매출상승에 실질적 도움”
국가브랜드 제고 · 제품 호감도 상승 효과
日 · 中 이어 유럽 · 북미진출도 가속화
지난 2008년 대한민국의 콘텐츠산업 수출액이 수입액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2008년 23억3800만달러였던 콘텐츠 수출액은 2009년 26억400만 달러, 2010년 32억2600만 달러, 2011년 41억5900만달러로 점점 그 규모를 늘려나가고 있으며, 수출입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콘텐츠 수출액과 수입액의 역전은 K-팝(Pop)으로 대표되는 한류의 세계적인 확산과 무관하지 않다. 이 같은 K-팝의 인기 상승은 한국의 국가 브랜드 제고와 제품의 호감도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의 매출 증대와 해외시장 개척에도 기여를 하고 있다.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서비스ㆍ제조분야 중견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류의 경제효과와 우리 기업의 활용 실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1.9%가 한류의 확산이 기업 매출 상승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86.7%), 관광(85.7%), 유통(75.5%) 등 서비스 업종에서 긍정적인 답변의 비율이 높았다. 제조업에선 식품(45.2%), 전자(43.3%), 화장품(35.5%), 자동차(28.1%), 의류(23.3%) 순으로 매출 상승효과를 기대하고 있었다.
K-팝 한류의 확산은 점차 가시적인 경제적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2011년 기준 전체 K-팝 수출액의 80.5%(1억5793만달러)를 차지했던 일본에선 휴대폰, 화장품 등의 품목 수출이 확대됐다. 관세청의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2006년 9억7000만달러였던 휴대폰 수출액은 2010년 13억7000만달러로 늘어났다. 화장품 수출액은 2007년 4200만달러에서 2010년 9470만달러로 두 배로 뛰었다. 중국에서도 K-팝이 인기를 얻기 시작한 2008년 이후 휴대폰, 전기밥솥, 텔레비전, 냉장고 등 가전제품과 화장품의 수출액이 급상승했다. 특히 국산 화장품의 중국 수출액은 2008년 1억850만달러에서 2010년 3억3680만달러로 약 3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아시아 시장의 여세를 몰아 K-팝의 유럽 및 북미시장 진출도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2009년 29만달러에 불과했던 K-팝의 유럽 수출액은 2010년 39만달러, 2011년 463만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1069.7%의 증가율을 보였다. 북미시장 수출액 역시 2009년 35만달러, 2010년 43만2000달러, 2011년 58만7000달러로 꾸준한 상승세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인터넷 서비스의 발달로 과거 일본 문화에만 익숙했던 유럽과 북미의 아시아 대중문화 시장에 한국의 입지가 확장되고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젠틀맨’의 빌보드 차트 점령은 이 같은 한국의 입지 확장을 극적으로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다.
불과 십수 년 전만 하더라도 영미권의 팝 음악을 넘어설 수 없는 벽이자 이상향으로 바라봤던 K-팝은 다원화된 세계 대중문화 시장의 한 축을 형성하며 점차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정진영 기자/123@heraldcorp.com
'대중음악 기사 및 현장 > 음악 및 뮤지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이 된 비보이 (0) | 2013.12.02 |
---|---|
(인터뷰) “이현석의 기타 역시 대단해…20년 후에도 이 말 듣고싶어” (0) | 2013.12.02 |
“나와 우리의 이야기를 부디 기억해 다오” (0) | 2013.11.25 |
유재하 음악정신 손수 이어간 유재하의 후예들 (0) | 2013.11.25 |
(인터뷰) 뉴욕에서 날아 들어온 낯설지만 신선한 감각의 멜로디 ‘희영’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