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후기

김혜나 장편소설 <차문디 언덕에서 우리는>(은행나무)

by 소설 쓰는 정진영입니다 2022. 7. 19.



이 장편소설을 읽으며 지난 2009년의 봄, 여름, 가을을 떠올렸다.
그 시절은 뜻대로 되는 게 아무것도 없었고, 사랑하는 사람도 모두 내 곁을 떠나가던 20대의 끝물이었다.

그해 봄, 나는 초기 불경인 <아함경>을 접하고 내 잇단 불운을 조금이나마 이성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이성적으로 나를 바라본다고 해도, 내 밑바닥에 단단히 쌓인 감정의 찌꺼기까지 정리하긴 어려웠다.
마음은 의지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

초여름에 나는 3박 4일 동안 서울에서 고향인 대전까지 걸었다.
감정의 찌꺼기를 정리하고 내 안에 차오르는 무언가를 소설의 형태로 남기고 싶었다.
출간이 보장되지 않는 데다, 운이 좋아 출간해도 팔릴 가능성이 희박한 소설을 쓰는 게 무슨 의미인지 고민이 앞섰다.
내 몸을 힘들게 내몰면 뭔가 결론이 나지 않을까 막연하게 기대했다.
그런데 땡볕 아래에서 오래 걸으니 힘들다는 생각 외엔 아무런 생각도 안 들었다.
보상은 없어도 한 번쯤은 미친 듯이 매달려 소설을 써도 괜찮겠다는 결론을 내린 게 힘든 여정에서 얻은 몇 안 되는 수확이었다.

늦가을까지 절간에 머물며 소설을 썼다.
소설을 쓰는 과정은 나를 들여다보는 과정이기도 했다.
나는 지금까지 구제불능에다 불완전한 존재였고 앞으로도 크게 다르지 않겠구나.
초고 집필을 마친 후 든 생각이었다.
하지만 쓸모없는 과정은 아니었다.
내가 그런 사람임을 인정하니 과거보다 훨씬 마음이 편해졌으니 말이다.

이 작품은 삶의 균형이 무너진 30대 여성이 도망치듯 떠나온 인도에서 겪는 일상과 고백을 담은 편지를 교차시켜 이야기를 풀어낸다.
인도에서 주인공은 요가 수련을 통해 구원받으려 하지만, 오히려 번민만 더 깊어지고 일상은 한국에 있을 때보다 더 엉망이 된다.
그리고 솔직하고 절절하게 고백한다.
나를 알기 위해 노력할수록 더 나를 모르겠다고.
더 혼란스럽다고.

시간이 많은 문제를 해결해준다지만, 나이 든다고 문제가 저절로 해결되지는 않았다.
나를 보니까 몸만 나이 들었을 뿐, 딱히 정신이 성숙해지지도 않았다.
나중에 내가 50대, 60대, 70대가 되어도 지금과 딱히 다르지 않을 것 같다.
나는 이 작품의 주인공이 이유도 모른 채 가파른 차문디 언덕을 오르듯, 그렇게 삶을 살아낼 수밖에 없는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오른 언덕의 정상에서 장엄한 풍경을 바라보며 감동했다가 언덕을 내려오고, 곧 다시 충동적으로 언덕에 오르고.
이 작품을 읽으며 나만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해 안도했다.
여운이 많이 남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