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헤럴드경제 정진영 기자479

<식물왕 정진영> 39. 메마른 거리를 밝히는 작고 달콤한 등불 ‘주목 열매’ 매년 이맘 때면 메마른 거리를 밝히는 앙증맞은 등불. 길에서 주목 열매 몇개를 따먹어봤다. 역시나 참으로 달다. 침엽수가 이런 열매를 맺다니... 참으로 흥미로운 일 아닌가? &lt;식물왕 정진영&gt; 39. 메마른 거리를 밝히는 작고 달콤한 등불 ‘주목 열매’기사입력 2015-11-05 17:26 0 추천해.. 2015. 11. 5.
<식물왕 정진영> 38. ‘들국화’는 종종 마법을 부리기도 한다 그냥 꽃 이야기보다는 역시 에피소드를 하나 엮는 게 흥미롭겠지. 꽃은 이렇게 마법을 부리기도 한다. 이 기사는 헤럴드경제 10월 30일자 26면 사이드에도 실린다. &lt;식물왕 정진영&gt; 38. ‘들국화’는 종종 마법을 부리기도 한다기사입력 2015-10-29 15:15 0 추천해요[HOOC=정진영 기자] 민주공.. 2015. 10. 29.
<정진영의 이주의 추천 앨범> 35. 캐스커 ‘그라운드’ㆍ아이유 ‘챗셔’ 外 전자음을 더 강조하면서도 더 따뜻해진 캐스커. 3년 만의 정식 귀환을 축하! 그리고 아이유... 도대체 이 소녀는 어디까지 진화를 거듭할까. 대중음악사상 전무후무한 캐릭터 아닌가? &lt;정진영의 이주의 추천 앨범&gt; 35. 캐스커 ‘그라운드’ㆍ아이유 ‘챗셔’ 外 기사입력2015.10.28 오후 1.. 2015. 10. 28.
<식물왕 정진영> 37. ‘서양등골나물’은 정말 황소개구리 같은 존재일까? 요즘 서울의 출근길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은 서양등골나물이다. 서양등골나물은 사실 생태계 교란종으로 찍혀 천대받는 식물이다. 그런데 생태계 교란종이란 낙인은 결국 사람에게 해롭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찍힌 낙인이 아닐까? 46억년 지구 역사상 최고의 생태계.. 2015. 10. 22.